생활정보

'포디' AI, 춤과 안무의 연습 문화도 바꾼다

돈돈바로 2025. 4. 2. 02:07
반응형

안무 연습의 미래, AI 기반 솔루션 ‘포디’의 등장

K-팝 커버댄서부터 공연 기획자까지

안무 훈련의 새로운 패러다임


PODI를 활용한 안무 연습

 

기존 안무 연습 방식의 한계: 감각에 의존한 훈련

K-팝 커버댄스팀, 프로 댄서, 공연 기획자, 아티스트들이 익숙하게 의존해 온 안무 연습 방식은 대부분 경험 중심의 직관적 훈련이었다. 안무가의 시범을 따라 하며 거울을 보거나 영상 촬영을 통해 동작을 점검했고, 팀 단위로는 반복된 합주와 집단 리허설을 통해 동기화를 맞춰왔다. 문제는 이러한 방식이 지나치게 주관적이며,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점이다. 특히 대규모 공연이나 빠듯한 제작 일정에서는 체계적인 피드백 부재가 결정적인 장애로 작용해 왔다.

 

 

AI가 가져온 변화: 새 흐름의 ‘포디’

스타트업 ‘새 흐름’이 개발한 안무 훈련 솔루션 ‘포디’는 이와 같은 기존 방식을 근본적으로 재구성했다.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댄서의 동작을 분석하고, 실시간 피드백을 제공하며, 무대 위에서의 동선과 팀원 간의 안무 유사도를 정밀하게 평가하는 시스템이다. 단순한 학습 보조 도구가 아닌, 퍼포먼스 전체의 퀄리티를 끌어올리는 전략적 훈련 파트너로 기능한다.

 

 

'포디'의 핵심 기능 분석

  • 동선 트레이닝: 무대 위에서의 이동 경로는 퍼포먼스의 몰입도를 결정짓는 요소다. 포디는 AI 분석을 통해 최적의 동선을 설계함으로써 무대 활용도를 높이고, 공연의 시각적 완성도를 끌어올린다.
  • 안무 유사도 분석 및 피드백: AI가 각 댄서의 동작을 정밀 추적하여 유사도와 싱크를 실시간으로 분석한다. 이를 통해 팀워크의 균형을 맞추고, 반복 연습 없이도 정확한 동작 교정을 유도한다.
  • 연습 효율성 증대: 포디는 훈련 과정 전체를 데이터화하여 연습 시간을 단축시킨다.
  • 퍼포먼스 질 향상: 전체 안무의 조화와 에너지 배분, 시선 처리까지 세부적으로 조율하게 한다.
  • 데이터 축적 및 활용: 각 댄서의 훈련 기록과 개선 이력을 기반으로 맞춤형 피드백을 제공한다.

AI와 안무 연습

 

'포디' 도입 전후의 변화: 비교표

항목 '포디' 도입 이전 '포디' 도입 이후
연습 방식 경험 중심, 개별 감각 의존 AI 기반 체계적 분석
피드백 제공 동료 피드백 혹은 자기 점검 실시간 AI 피드백
무대 동선 계획 댄서 직관에 따른 이동 최적 동선 자동 제안
팀 동기화 반복 연습 중심 유사도 분석 기반 정밀 조율
연습 시간 장기간 소요 효율적 단축
퍼포먼스 완성도 개인 편차 존재 일관된 고품질 퍼포먼스 구현

 

 

공연 산업에 미치는 실질적 영향

  • 공연 리허설 구조 재편: 제작 및 리허설 프로세스가 유연하고 효율적으로 재편됨
  • 무대 디자인의 혁신: 동선 설계가 창의적으로 변모
  • 신인 아티스트 성장 가속화: 진입 장벽이 낮아지고, 빠른 훈련 가능
  • 데이터 기반 안무 창작: 관객 반응 데이터를 반영한 안무 개발 가능

 

미래 전망: 안무, 기획, 연출의 AI 전환

포디는 단순한 기술 도입을 넘어 공연 예술의 근본적 훈련 구조를 재편하고 있다. 이는 댄서 개인의 연습 효율을 넘어, 공연 기획 전반과 안무 창작, 리허설 시스템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할 것이다. AI가 읽는 움직임, 그리고 AI가 설계하는 무대. 그 변화는 이미 시작되었고, 무대를 향한 새로운 흐름은 지금 이 순간에도 춤추고 있다.

 

반응형